골프가 대중화되면서 중장년을 비롯해 20~30대 젊은 층도 골프를 즐기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하지만 골프를 오래 치거나, 잘못된 동작으로 스윙을 하다 보면 근육, 힘줄 등에 손상이 갈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회전근개 파열
골프 스윙 동작 중에 어깨 회전근개에 손상을 입어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가 많습니다.
회전근개는 어깨뼈를 둘러싸는 네 개 근육의 힘줄 군을 뜻하는데, 어깨 움직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회전근개 파열은 골프 등 어깨 관절을 크고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운동 중에 발생하기 쉽습니다.
특히, 나이 들어 회전근개 힘줄의 탄력이 떨어지면 더 빈번하게 회전근개 파열이 발생합니다.
중년 이후에는 어깨 관절에 무리가 가는 동작으로 회전근개 파열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증상이 심하지 않다고 대수롭지 않게 생각해 어깨에 무리를 주는 동작이나 운동을 반복하면 병을 키우거나 고착화시킬 수 있어 작은 증상이라도 나타나면 진료를 받아보아야 합니다.
회전근개 파열의 대표적인 증상은 팔을 들어 올리거나 어깨를 움직일 때 통증이 생기고, 소리가 나기도 하며, 팔을 오래 쓰는 일을 하거나 어깨를 깔고 누웠을 때 통증이 극심해지는 것입니다.
골프 엘보
골프를 하다 보면 어깨뿐 아니라 팔꿈치, 손목, 무릎, 허리, 발목 등에도 반복적인 자극이 누적돼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것이 골프 엘보입니다.
골프 엘보는 골프를 하면서 손목에 가해지는 순간적인 임팩트 때문에 손목을 뒤로 젖히는 근육들이 붙어있는 팔꿈치 바깥쪽 돌기 부위 힘줄이 붓고 아픈 상태를 말합니다.
경우에 따라 그 부위 힘줄이 파열되기도 하며, 뒤땅 치기를 자주 하는 경우 더욱 잘 생겨 주의해야 합니다.
자가진단만 믿어선 안돼
골프 손상은 자가 진단만으로는 쉽게 판단하기 어렵고 증상이 애매한 경우가 많습니다.
별일 아니라고 여겼지만 이미 심각하게 손상됐을 수 있고, 반대로 걱정을 많이 했지만 실제로는 별 문제가 아닌 경우도 있기 때문입니다.
어깨를 앞이나 옆 또는 뒤로 높이 들어 올릴 때 아프거나 뻑뻑해서 잘 되지 않는 등의 증상이 지속될 경우 병원 진료 및 검사가 필요한데, 일반 X-RAY 검사에서 이상이 발견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고 초음파 검사로 손상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골프 엘보도 증상이 오래간다면 초음파 검사로 파열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골프 통증 예방법
어깨 통증이 있다면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일어날 때 손을 짚거나 팔 굽혀 펴기 등 어깨에 체중을 싣는 동작은 최대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골프를 시작하기 전에 충분히 준비운동을 하는 것도 중요한데, 어깨 관절을 각 방향으로 천천히, 운동 범위 끝까지 깊게 스트레칭하면서 이를 10초 유지하다가 원래의 자세로 돌아오는 체조를 약 5~10분 하면, 회전근개 손상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너무 큰 백스윙은 피하고 어깨에 힘이 들어가지 않는 부드러운 스윙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임팩트가 정확하면 공이 원하는 방향으로 멀리 잘 날아갈 뿐만 아니라 어깨와 팔꿈치 손상도 잘 발생하지 않습니다.
골프 후에는 사우나를 하거나 가벼운 마사지를 받는 것이 등 근육의 피로를 푸는 데 도움이 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