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살 안 찌는 식사법 원리 4가지

by 플러스토리 2022. 11. 7.
반응형

같은 음식을 먹어도 살이 확 찌는 사람이 있고, 덜 찌는 사람이 있습니다. 음식량도 비슷한데 왜 그럴까요? 체질 탓일지 궁금한데요.

 

이럴 때 몸의 움직임(신체 활동량)이 많은 시간대와 식사시간을 파악해 봐야 합니다. 활동량이 적은 늦은 밤에 음식을 자주 먹으면 살이 찌는 것과 비슷한 원리죠.

 

살 덜 찌는 나만의 식사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살 안 찌는 식사법 4가지

 

1. 밤에 먹으면 지방 축적 증가

최근 국제 학술지 세포 대사 저널에는 저녁을 일찍 먹은 사람과 밤에 음식을 먹은 사람과의 지방 축적-분해 과정을 연구한 논문이 실렸습니다.

 

그 결과 밤 10시에 음식을 먹은 사람은 식욕 조절 호르몬인 렙틴과 그렐린 사이의 균형이 깨져서 배고픔이 2.02배나 증가했죠.

 

낮에 중심 체온이 낮아져 음식으로 들어온 열량을 사용하는 양도 5.03% 감소했습니다. 지방 축적을 일으키는 효소는 늘어난 반면 지방 분해 효소는 줄어든 것입니다. 결국 살이 찐다는 것이죠.

 

 

2. 꼭 지켜야 할 식사 시간대

위의 논문은 누구나 알고 있는 당연한 결과를 담고 있습니다. 밤늦게 야식을 먹은 후 얼마 안 돼 잠이 들면 살이 찌는 것입니다.

 

핵심은 몸의 움직임(신체 활동)과 음식 섭취 시간대입니다. 저녁 5~6시쯤 식사를 일찍 해도 이후 신체 활동이 매우 적다면 살이 찔 수 있는 것인데요.

 

밤을 새우는 야근이 잦아 퇴근 후 오전이나 낮에 식사한 후 잠을 잔다면 지방세포에서 열 발생이 감소해 살이 찔 수 있습니다.

 

결론은 식사 후 몸을 충분히 움직여 열량을 소모할 시간이 있느냐에 따라 비만 여부가 결정된다는 것입니다.

 

반응형

 

3. 먹었으면 움직이세요

야식이나 정상 식사와 상관없이 음식을 먹은 후 몸의 움직임이 거의 없는 시간대라면 조심해야 합니다. 살이 찌는 것은 열량 계산에서 더하기, 빼기와 같이 간단하죠.

 

하루 두 끼를 굶고 한 끼를 먹더라도 바로 잠을 자면 음식으로 들어온 열량의 사용이 줄고, 지방 분해 효소는 감소해 살이 찔 수 있습니다.

 

다이어트 전문가들이 저녁식사를 오후 6시 이전에 일찍 하라는 것은 이후 몸을 충분히 움직이라는 전제가 깔려 있는 것입니다.

 

 

4. 직장인, 사무실에서도 몸 움직이세요

직장인은 다이어트에 신경 쓰더라도 점심 식사 후가 문제인데요. 1시간 남짓 점심시간에 급하게 식사를 한 후 앉아서 커피까지 마시면 신체 활동량이 크지 않습니다. 이후 퇴근 시간까지 사무실에 앉아 있는 시간이 길죠.

 

점심을 먹고 나면 혈당이 오릅니다. 면이나 밥을 과식했다면 혈당이 치솟는 수준이 될 수 있죠.

 

복도로 나가 잠시 거닐거나 계단을 오르는 것도 방법입니다. 까치발 운동이나 스쿼트도 해 보세요.

 

전화가 오면 일어나서 받는 등 자투리 시간을 활용하는 나만의 ‘몸 움직임 법’을 생각해봅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