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성조숙증 환자 폭증) 성조숙증 원인, 증상, 치료방법

플러스토리 2023. 4. 9. 08:51
반응형

(성조숙증 환자 폭증) 성조숙증 원인, 증상, 치료방법
(성조숙증 환자 폭증) 성조숙증 원인, 증상, 치료방법

 

성조숙증이란?

성조숙증은 또래보다 2차 성징이 일찍 시작되는 질환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남자아이는 만 12세, 여자아이는 만 10세에 고환 크기가 커지고 가슴 몽우리가 잡히는 등의 2차 성징이 시작되나, 성조숙증 진단을 받은 아이들은 남자아이는 9세 이전, 여자아이는 8세 이전에 상기한 신체적 변화를 경험합니다.

 

그런데 최근 국내 '성조숙증' 환자가 급격하게 불어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습니다.

 

 

 

 

성조숙증 환자 폭증

성조숙증 환자, 여아가 많지만, 증가율은 남아가 훨씬 높아

최근 2008년부터 2020년까지 국내에서 성조숙증으로 치료받은 9세 미만 여자아이와 10세 미만 남자아이 13만 3,283명을 분석한 연구에 따르면,

 

분석 기간 중 성조숙증 진단 사례는 여자아이(12만 6,377명)가 남자아이(6,906명)보다 18.3배 많았지만, 연간 성조숙증 증가율은 남자아이가 10만 명당 1.2명에서 100명으로 12년간 83.3배 증가해 여자아이의 증가율(15.9배)을 훨씬 앞질렀습니다.

 

이러한 증가추세는 전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을 정도이며, 국내 성조숙증 증가 원인과 암 발병 연관성 등에 관한 대규모 연구가 필요한 실정입니다.

 

 

 

 

성조숙증 주요원인

 서구화된 식습관

 미디어를 통한 성적 자극

 환경 호르몬 증가

▶ 소아비만 등

 

이 중 소아비만은 성조숙증 위험을 증가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지목됩니다.

 

관련 연구자료를 보면 남자아이 성조숙증 환자가 폭증하는 주요원인으로 비만을 꼽았습니다.

 

 

 

이는 체지방 세포에서 분비되는 '렙틴(Leptin)'이라는 호르몬이 성호르몬 분비를 자극하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2007년 미국의 한 연구에서 소아 비만이 여자아이의 이른 2차 성징을 유발한다고 보고했습니다.

 

이 연구는 354명의 여자아이를 12세까지 추적 관찰하며 진행했는데, 그 결과, 연구진은 소아 비만을 겪고 있는 168명에게서 9살 생일 전 2차 성징의 징후를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환경호르몬도 성조숙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대표적으로 프탈레이트(Phthalate)가 있습니다.

 

프탈레이트는 우리 일상생활에서 빠질 수 없는 플라스틱을 부드럽게 만드는 데 사용되는데, 인체에 유입되면 내분비계를 교란하고 성조숙증을 유발합니다.

 

이 밖에도 다이옥신(Dioxin)과 비스페놀 A(Bisphenol A) 등의 환경호르몬도 성호르몬 분비를 억제하는 멜라토닌(Melatonin) 분비를 막아 성조숙증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성조숙증 증상

남자아이의 경우 조기증상 발견 어려워

성조숙증의 가장 큰 문제는 아이의 성장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것입니다.

 

성조숙증이 진행되는 시기에는 또래보다 신체 성장이 빠르지만, 곧 성장판이 일찍 닫혀 성인이 되었을 때의 최종 신장은 오히려 작은 편에 속하게 됩니다.

 

따라서, 아래의 증상이 보이면 즉시 병원에 내원해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 아이의 키가 갑자기 자라거나

 빠른 치아 발육

 머리나 발 냄새가 심하게 나는 증상

 

 

 

특히, 남자아이의 경우 여자아이와 비교해 성조숙증 조기 증상을 발견하기 어렵기 때문에, 보호자가 항상 관심을 두고 신체 변화 추이를 관찰할 필요가 있습니다.

 

 

 

 

성조숙증 치료방법

성조숙증은 진단이 늦을수록 치료의 효과가 떨어지고 비용도 많이 듭니다.

 

때문에 적절한 시기의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여자아이는 만 9세 이전에, 남자아이는 만 10세 이전에 성조숙증으로 진단을 받은 경우에는 의료보험 적용을 받을 수 있으므로, 의심되는 증상이 있다면 최대한 빨리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단, 생일이 하루라도 지난 경우에는 보험적용이 안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현재까지 의학적으로 공인된 성조숙증 치료법은 생식샘자극호르몬분비호르몬 유사체를 이용한 주사 치료가 유일합니다.

 

치료와 더불어, 평소에 성조숙증 개선에 도움을 주는 생활습관을 갖는 것도 중요합니다.

 

아래는 대한소아내분비학회가 제안하는 바른 성장을 위한 5계명입니다.

 

1. 하루 8시간 이상 푹 자기

2. 하루 30분 이상 운동하기

3. 스마트폰, 컴퓨터, TV 사용 줄이기

4. 일조량은 충분히, 하루 30분 이상 햇빛 쬐기

5. 건강한 식단, 하루 세끼 꼭 먹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