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영양제 며칠동안 얼마나 먹어야 효과 볼까?(feat. 영양제별 효과 기간)

플러스토리 2022. 11. 1. 10:00
반응형
 영양제는 얼마나 먹어야 효과가 나타나요?
  

소비자 입장에서는 가장 궁금한 부분입니다. 섭취 후 별다른 효과를 느끼지 못했는데 비싼 돈을 내고 계속 먹을 순 없으니 말입니다.

 

 

영양제의 인체적용시험을 보면 대개 12주 동안 섭취 후 변화를 평가합니다. 그럼 모든 영양제는 꼭 12주, 3개월을 섭취해야 할까요?

 

꼭 그렇진 않습니다. 영양제는 서서히 생리적 기능을 개선해 건강의 불편함을 개선하므로  12주 전에 효과를 보는 것도 많습니다.

 

오늘은 각 원료의 특성과 섭취 후기 그리고 인체적용시험 결과를 참고해 영양제 섭취 후 효과 판단에 도움 되는 기준을 정리해 봤습니다.

 

이 내용은 약의 복용 기간과 같은 절대적 기준은 아니지만, 설명한 기간만큼 영양제를 먹었지만 특별한 변화가 없었다면 전문가와 상담하거나 다른 건강 개선 방법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는 뜻입니다.

 

 

 

섭취 후 15일 이내에 효과를 볼 수 있는 영양제

대부분의 비타민미네랄이나 프로바이오틱스, 간 건강제품은 섭취 후 15일 이내에 효과 여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비타민미네랄은 생리적 기능에 바로 참여하는 만큼 평소 섭취가 부족했다면 변화를 더 빠르게 느끼는 특징이 있습니다.

 

만일, 비타민 및 미네랄 섭취 후 특별한 변화를 느끼지 못했다면 제품의 용량 또는 구성이 자신에게 맞는 것인지 전문가와 상담을 권합니다.

 

프로바이오틱스는 배변 활동 개선 목적이라면 15일 이내로 효과 판단이 가능합니다. 변의 모양이나 색깔, 배변 횟수 변화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단, 면역기능, 질 건강, 갱년기 건강, 체지방 감소 등의 목적이라면 최소 1~2개월 이상 섭취를 권합니다.

 

배변활동 외 기능은 장 내 환경 변화에 따른 각종 유전자 발현과 연관되므로 단기적 평가가 어렵습니다. 참고로 해외에서는 면역 관련 프로바이오틱스 연구를 6개월 이상 시행하기도 합니다.

 

간 건강제품은 간의 산화적 손상을 막아 간 기능 회복을 도와주어 섭취 후 며칠 이내에 컨디션이 회복되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수면건강제품 또한 15일 이내에 효과 판단이 가능합니다. 국내에서 허가된 세 가지 수면 건강 원료의 인체적용시험 또한 1주, 2주, 4주로 단기간 섭취 전후 변화를 평가했습니다.

 

수면건강은 장기간 방치하면 전신 건강에 영향을 주고 불면증이 고착화되면 치료가 더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섭취 후 15일까지 특별히 눈에 띄는 변화가 없다면 다른 건강관리법을 고민하는 게 필요합니다.

 

반응형

 

섭취 후 한 달 이내에 효과를 볼 수 있는 영양제

눈의 피로 개선에 도움을 주는 영양제나 관절 건강 제품, 질 건강에 도움을 주는 영양제는 섭취 후 한 달 이내에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질 건강 제품 또한 15일 이내에 효과가 나타난다는 자료 및 섭취 후기도 많습니다. 생리 전후 호르몬 변화로 질 관련 불편 증상을 느끼는 분들이 많은 만큼 정확한 판단을 위해 한 달가량 섭취하는 것을 권합니다.

 

눈의 피로 개선에 가장 많이 활용되는 아스타잔틴은 섭취 4주 후 불편감이 개선된다는 연구가 많습니다.

 

노화로 인한 눈 건강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루테인, 지아잔틴은 침침함이 개선되는 것을 매우 서서히 느끼거나 자각증상이 없는 경우도 많습니다.

 

눈의 피로 개선에 도움을 주는 원료들은 눈 앞쪽의 혈류를 개선해 눈 주변부의 압박감을 개선하므로 섭취 후 변화가 느껴집니다.

 

반대로 말하면 눈의 피로개선 영양제 섭취 후 한 달 이내로 변화가 없다면 다른 방법을 찾거나 원인을 다시 찾을 필요가 있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관절 건강 영양제는 관절연골의 염증을 억제하고 연골의 구성 성분을 강화해 관절 및 연골의 불편함을 개선합니다.

 

한 달 섭취한다고 모든 관절 불편함이 싹 나아지진 않지만, 원료의 특성상 관절에 직접 작용하므로 서서히 편안해지는 것은 느낄 수 있습니다.

 

만일, 한 달 동안 관절 영양제를 먹었는데도 관절의 불편감이 전혀 개선되지 않았다면 꼭 전문적 상담을 권합니다. 영양제의 종류 또는 용량을 바꾸거나 전문적 치료가 필요한 상황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두 달 이상 섭취가 필요한 영양제

혈행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오메가 3, 인지력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포스파티딜세린 그리고 방광의 배뇨 기능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호박씨 추출물 등 복합물이나 혈압 또는 혈당 개선 원료는 두 달 이상 섭취하는 것을 권합니다.

 

이런 원료는 세포나 조직의 기능을 서서히 개선함으로써 생리적 기능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단기간에 효과 여부를 판단하기가 어렵습니다.

 

약을 대체하여 영양제를 활용하는 것은 절대 권하지 않습니다. 영양제는 경증의 불편 증상 관리에는 도움이 될 수 있으나, 약을 복용해야 할 만큼 악화된 생리적 기능 회복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따라서 만성질환으로 약을 복용하면서 영양제를 활용하고 싶다면 가까운 약국에서 약사와 상담 후 구매할 것을 권하고 싶습니다.

반응형